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규칙 알아보기

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규칙


주민등록번호는 앞 6자리와 뒤 7자리 총 13자리로 구성되며 앞 6자리는 생년월일을 나타냅니다.



뒤 7자리는 무작위가 아닌 성별 및 태어난 연도, 출생신고 지역 등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성 되는데 오늘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및 규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


1. 첫번째 뒷자리 - 성별 및 태어난 연도



주민등록번호의 첫번째 뒷자리는 성별 및 태어난 연도를 표시한 것으로 태어난 연도가 1900~1999년도라고 한다면 남성은 1번을, 여성은 2번이 첫번째 뒷자리에 오게 됩니다.


외국인의 경우는 번호가 달리 적용되는데 자세한 태어난 연도 및 성별에 따른 첫번째 뒷자리 번호는 아래 정보를 이용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


2. 두번째, 세번째 뒷자리 번호 - 출생등록지 지방자치단체 고유번호



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두번째, 세번째 번호는 출생등록지, 즉 출생신고를 지방자치단체의 고유번호입니다.




하지만 주민등록번호에 표기되는 출생등록지 숫자와 실제 출생지는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주민등록번호 그 자체만으로 본적이나 출생지를 파악하는데는 무리가 있다는 점 유의하세요~



3. 네번째, 다섯번째 뒷자리 번호 - 출생등록지 읍/면/동주민센터 고유번호



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네번째, 다섯번째 번호는 출생등록지의 읍/면/동주민센터 고유번호로 주민센터마다 고유한 번호가 행정자치부에 의해 부여되어 있습니다.


4. 여섯번째 뒷자리 번호 - 출생신고 순서



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 여섯번째는 일련번호로 그날 주민센터에서 출생신고를 한 순서를 의미합니다.


예를 들면 출생등록지 고유 번호가 4555로 같을 경우 여섯번째 번호는 출생신고를 한 순서대로 1~9의 순서로 번호를 부여받게 됩니다.

5. 일곱번째 뒷자리 번호 - 위변조 방지 검증번호



주민등록번호의 마지막 일곱번째 자리는 주민등록번호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검증번호입니다.


앞의 12자리 숫자에 각각 순서대로 2, 3, 4, 5, 6, 7, 8, 9, 2, 3, 4, 5를 곱한 뒤 모두 더한 후 11로 나눠서 나온 나머지를 11에서 뺀 값으로 10은 "0", 11은 "1"로 표기합니다.



이상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및 규칙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. 감사합니다.




댓글